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

KF101 MAX 비행하기전 알고 가기 드론 코딩을 배워보고 싶어서 codrone mini를 GPS 연동과 촬영이 가능한 초보자 입문용으로 KF101 MAX를 구입하고 드디어 누군가 또 나와 같은 KF101 MAX의 입문자가 있다면 아래와 같은 숙지 사항을 전달해보려고 하니 도움이 되길를 바랍니다. KF101 MAX 비행하기 전 숙지사항 (언박싱과 관련된 내용 및 드론 사양에 대한 언급은 따로 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초보자의 관점에서 적어 보려 합니다. 1. 드론의 날개 펴는 방법 (약간 힘을 줘서 서서히 펴줍니다) 1-1) 상부의 날개(앞쪽 날개)를 앞쪽으로 펴준다 (왼쪽, 오른쪽 동일) 1-2) 아래의 날개(뒤쪽 날개)를 뒤쪽으로 펴준다 (왼쪽, 오른쪽 동일) ▶앞쪽 날개를 먼저 펴야 뒤쪽 날개를 필수 있는 구조.. 2022. 12. 19.
기계가공 개요 공작기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절삭가공과 연삭가공 등을 포함하여 절삭 기계가공 또는 기계가공이라 하고, 공작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각종 수공구를 사용한 가공을 수가공이라고 한다. 1. 공작기계의 기본 운동 1-1) 절삭운동 O=시작점(출발점), W=가공물, T=바이트, C=절삭 칩, T'=2번째 절삭 개시 위치, t=절삭깊이라고 할 때 절삭깊이만큼 바이트를 이동하여 절삭 방향으로 진행하는 운동을 절삭 운동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절삭운동 방향은 가공 표면에 평행되는 방향을 갖게 된다. 절삭 운동은 기계가공에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운동으로 공작기계 운전 동력의 대부분은 이 절삭 운동에 소비된다. 바이트와 가공물의 운동 관계는 다음과 같다. ① 공구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고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절삭 운동.. 2022. 12. 14.
용접 결함과 검사 방법 1. 용접법의 선정과 용접성 1-1) 용접법의 선정 금속재료의 용접에서는 용접할 재료에 적합한 용접법을 선정하고 올바른 조건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재의 화학성분, 성질, 용접성, 용접 방법, 용접 조건의 변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다. 재료가 용접하기 쉬우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① 급열 급랭에 의한 재료의 경화가 적을 것 ② 재료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 에너지가 커야 한다. ③ 용융되었을 때 산화작용이 적을 것 ④ 균열이 생기기 쉬운 성분을 너무 많이 함유하지 않을 것 ⑤ 용접봉을 잘 선정하여 용접부가 충분한 인장강도, 연율, 충격치를 가질 것 이들은 용접 기술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또한 용접 구조물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가 있다. 1-2) 용접성 용접성이란 용접의 난이도를.. 2022. 12. 13.
소성가공이란 ? 1. 소성가공 재료에 외력을 가하면 재료 내부에서 변형이 생긴다. 외력이 어느 정도 이상 크게 되면, 외력을 제거하여도 원상으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고 변형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이 남는 것을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라고 하고, 이 성질을 소성(plasticity)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해 완전히 원상에 복귀되는 변형을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라고 한다. 재료의 소성을 이용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가공을 하던가, 주조 조직을 파괴하여 균일한 미세 결정으로 강도, 연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가공법을 소성가공이라고 한다. 소성가공은 비절삭가공이라고도 하며 기계가공에 비하여 제품의 강도, 생산속도, 생산비등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제품의 치수, 표면 상.. 2022. 1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