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코딩을 배워보고 싶어서 codrone mini를 GPS 연동과 촬영이 가능한 초보자 입문용으로 KF101 MAX를
구입하고 드디어
누군가 또 나와 같은 KF101 MAX의 입문자가 있다면 아래와 같은 숙지 사항을 전달해보려고 하니 도움이 되길를
바랍니다.
KF101 MAX 비행하기 전 숙지사항
(언박싱과 관련된 내용 및 드론 사양에 대한 언급은 따로 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초보자의 관점에서 적어 보려 합니다.
1. 드론의 날개 펴는 방법 (약간 힘을 줘서 서서히 펴줍니다)
1-1) 상부의 날개(앞쪽 날개)를 앞쪽으로 펴준다 (왼쪽, 오른쪽 동일)
1-2) 아래의 날개(뒤쪽 날개)를 뒤쪽으로 펴준다 (왼쪽, 오른쪽 동일)
▶앞쪽 날개를 먼저 펴야 뒤쪽 날개를 필수 있는 구조입니다.
1-3) 날개를 끝까지 폈을 때 정위치에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2. 카메라 커버 제거
2-1) 커버 양쪽을 누르고 (양쪽으로 락이 걸리는 구조) 아래로 서서히 내리면 열 수 있습니다.
3. 드론에서 배터리 분리
3-1) 앞날개를 펼쳐야만 배터리 분리가 가능합니다.
3-2) 배터리 양쪽 측면을 보면 버튼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동시에 누르고 올리면 배터리가 분리됩니다.
4. 조종기, 배터리 충전하기
4-1) 고속충전기 사용은 NO, 배터리 파손 우려가 있다고 하니 일반 충전기로 충전을 합니다.
4-2) 조종기 완충 시 빨간색 LED는 꺼지게 됩니다.
4-3) 배터리 완충 시 4개의 파란색 LED가 켜지게 됩니다. (처음 상품은 2~3개 사이에서 깜박이며 충전이 됩니다.)
5. 완충이 되었다면 배터리를 부착해 줍니다.
5-1) 드론 본체에 배터리의 밀어 넣어 주면 장착이 됩니다.
6. 드론 시동걸기 (여기서부터 방법대로 하면 드론은 절대 사고 치지 않아요~)
조정기와 드론 주파수 연결, 드론 자기장 교정, 드론 수평 교정을 잘해야 드론을 잘 날릴 수 있어요
6-1) 드론 날개를 모두 펼친다.
6-2) 카메라 커버를 분리한다.
6-3) 드론을 평평한 곳에 놓는다.
6-4) 드론 배터리 상부의 버튼을 1번 누르면 배터리 LED가 커진다 이때 다시 길게 1번 더 누른다. (드론이 켜진다)
6-5) 조종기 전원을 ON 한다
6-6) 조종기 왼쪽 스틱을 위아래로 움직인다 (몇 초후 조종기에서 "띠"하고 소리가 나며 노란색 LED가 커진다)
조종기의 드론 배터리 표시가 보이면서 주파수가 연결됩니다.
반드시 드론과 조종기가 연결이 된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6-7) 조종기의 자기장 버튼(우측 아래)을 누른다.
6-8) 이제 평평한 곳에 놓인 드론의 몸체를 잡고(수평상태로 약간 들어줌) 시계방향으로 드론 자체를 계속 돌려줍니다.
▶ 5바퀴 정도 돌려주면 "띠-" 소리가 납니다.
6-9) 드론의 카메라가 아래로 향하도록 잡아서 드론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돌려준다.
▶ 5바퀴 정도 돌려주면 "띠-" 소리가 납니다.
6-10) 드론을 다시 평평한 곳에 놓습니다.
6-11) 조종기의 양쪽 스틱을 5시 방향으로 내리면 드론의 LED가 빠르게 점멸하다가 점등됩니다.
6-12) 조종기의 양쪽 스틱을 안쪽 대각선 방향으로 3초간 동시에 밀어줍니다. (드론의 시동이 걸립니다)
▶ 드론의 시동만 걸린 뿐 상승하지 않습니다.
6-13) 조종기의 양쪽 스틱을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3초간 동시에 밀어줍니다. (드론의 시동이 꺼집니다)
7. 실외에서 첫 비행
반드시 조종기의 GPS 신호수를 확인합니다. 9개 이상일 때 비행이 가능합니다.
비행하기에 앞서서 유용한 앱을 설치하고 (드론 원스톱 민원서비스, Ready to fly, 드론 플라이) 기상 조건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비행제한 구역, 바람의 세기(4~5m/s이상 일 때는 비행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자기장 지수(자기장 지수 5 이상
일 때는 통신 장애 발생 확률이 높음) 등은 확인하셔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 중 6번 항목의 내용을 필히 실내 또는 실외에서 충분히 이해하고 숙지한 상태에서
비행 테스를 해보기 바랍니다.
만약 위의 내용을 순서대로 하지 않을 경우 드론의 호버링에 문제가 발생하고, 드론은 조종이 불가능한 상태로 비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초보자가 저지르는 실수 중 거의 99% 이상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숙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소중한 드론과 헤어지는 사례가 발생합니다.
지면에서 조금 상승 후 호버링에 문제가 있다면 비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8. 소중한 경험
여러 차례 비행을 했지만 요 며칠 눈이 많이 와서 설경을 담고 싶은 마음에 조급함이 생겼습니다.
6번 항목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드론에 시동을 걸고 약간의 상승을 시켰다가 호버링이 안되었습니다.
그리곤 드론은 자율주행을 하면서 눈 속에 처박혀 버렸습니다. 다행히 기체에는 손상이 가지 않았으나 영원히 드론과
헤어질 수도 있었습니다.
'드론 > KF101M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론 배터리 관리 방법 알고 가기 (0) | 2023.03.0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