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결요소/너트의 종류와 내용

너트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by sinnara2038 2023. 1. 31.
반응형

1. 너트(nut)란

 너트는 일반적으로 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와 함께 체결되는 것으로 종류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쓰인다.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기계구조용, 건축용, 일반용으로 크게 나누며, 모양에 따라 일반용 너트, 풀림 방지용 너트 등이 있다.

 나사산의 가공방향에 따라서 좌(左) 너트(왼나사), 우(右) 너트(우나사)로 나눈다.

 재질은 일반, 스텐, 황동, 고장력, PE, S45C 등 여러 종류들이 있다.

 

2. 너트의 종류 및 사진

너트의 종류

아래사진에 포함된 너트의 종류 중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일반적으로 장치류를 만드는 업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너트이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너트는 목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너트이다

 

3. 너트 종류별 설명

1) 육각 너트(hexagon nut)
     머리모양이 육각형인 너트이며, 스패너로 돌리기 쉽도록 머리모양이 육각형인 너트를 육각 너트라고 한다.
     한 면에서 대응면까지의 거리는 스패너가 물 수 있는 치수이며, 너트의 두께나 모따기의 유무 등에 따라

    1종(한쪽이 평평함. 좌면에 모떼기 없는 평평한 형상이다)

    2종(일반적인 너트로 양쪽 모두 모떼기가 되어 있다)

    3종(양쪽이 둥글며 두께가 얇다. 2종과 같이 양쪽 모두 모떼기가 되어 있어서 모양은 같으나 높이 치수가 작다)

    4종(1종과 같이 좌면이 모떼기가 없으나, 와셔자리면이 붙어 있음 - 용접너트 배꼽 너트) 으로 나눈다.

육각너트 규격표


 2) 로크너트(lock nut)
     불리는 이름은 동일하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엄연하게 차이가 있으며,
     볼 스크루의 서포트유니트에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정밀 로크너트(RN, DN, KZM, KZMV, KSN)와
     전선배관 공사 등에서 전선관을 박스에  접속, 고정할 때 사용하는 로크너트가 있다.

정밀로크너트 규격표
전선배관용 로크너트 규격표


 3) T 너트
     알루미늄 프로파일 홈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T너트 규격표


 4) U 너트
     고온에 견디고 풀리지 않아야 되는 장비에 사용한다.
     너트와 프릭션(특수 스프링)2점 부품으로 되어 있고, 너트 윗면에 프릭션 링을 코킹 가공을 통해 고정한 구조이다.
     프릭션 링이 볼트의 나사산에 접하면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응력이 발생하고, 그에 대한 반력이 함께 볼트의 나사산을

     강압하여 자유 회동을 저지하는 마찰 토크를 발생시킴으로 풀림 방지를 유지한다.

U너트 규격표


 5) 가시 너트(사발 너트)
     각종 지그나 목재를 고정할 때 나사를 돌려 넣으면 반대로 힘을 받아 견고히 고정할 때 사용한다.
     볼트와 부재와 연결할 때 사용하며, 홀가공 후 두드려 부착하며, 기사형태의 날개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가시형태의 날개가 부재를 연결할 때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이다.

가시너트 규격표


 6) 원형 너트 & 각산 육각 너트
     각산 전산볼트와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외형은 원형 및 육각형으로 되어 있다.
     나사산이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너트이다.

각산너트 규격표


 7) 나비너트(wing nut, butterfly nut)
     손가락으로 돌려서 체결할 수 있는 손잡이가 달린 너트로, 손잡이 부분이 나비 날개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나비너트 규격표


 8)
나일론 너트(nylon nut)
     풀림 방지 너트로 불리며 너트 안쪽에 나일론 인서트가 들어 있어 볼트 체결 시 나일론을 파고들면서 체결되어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그러나 열에 약한 단점이 있으며, 한번 체결 후 풀었다면 풀림 방지 기능이 상실되어

    재 사용하지 않는다.

나일론너트 규격표


 9)
노브 너트(knob nut)
    
모양이 둥근 형태로 손으로 잡고 돌려서 체결하는 구조의 너트이다.
 10) 둥근 너트(circular nut)
   
회전체의 균형을 좋게 하거나 너트를 외부에 돌출시키지 않으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한다.
   
너트를 체결하는 특수한 스패너가 필요한다.
 11)
번데기 너트
   
목재와 목재를 볼트 연결할 때 도와주는 부속품으로 너트의 기능과 몸체 전체가 목재 속에 박혀

    고정되는 피스의 기능 수행을 한다. 외관으로 연결 부위가 전혀 보이지 않게 하는 깔끔한 효과가 있다.
   
조립, 분해를 통한 반복 조립 시 발생되는 나사 헐거움의 문제가 없다.  

번데기너트 규격표

12) 베어링 너트(AN계열)
   
베어링을 고정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으로 회전축 나사부에 키홈과 유사한 세로방향의 홈을 가공해

    너트와 축을 와셔로 체결함으로써 너트의 풀림 방지 효과를 볼 수 있어 베어링의 이탈방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베어링너트 규격표


 13)
볼 너트(ball nut)
   
알루미늄 프로파일 홈에 삽입하여 체결용으로 사용한다. 볼에 텐션이 작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멈춤 후 체결 가능한다.

볼너트 규격표


 14)
뿔 너트(horn nut)
   
나비너트와 비슷하나 날개 부분이 둥글고 길다. 주로 경첩볼트와 조를 이루어 선박 해치 부분에 사용된다.

    손으로 쉽게 조이고 풀 수 있다.

뿔너트 규격표


 15)
사각 너트(square nut)
   
너트의 사용장소가 습기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해 부식이 우려될 경우 육각너트 대신 사용하기도 하며,

    알루미늄 프로파일에도 사용된다.

 16) 스크루앙카 너트
   
해머로 타격하지 않고 드릴로 임팩 작업이 가능하다. 직접 나사산을 만들면서 결합되는 방식이다.
   
해체가 가능해 위치가 잘못된 앙카는 해체 후 재 설치 가능한다. (잦은 재사용은 나사산이 무뎌져 고정력이 약화된다)
    콘크리트 천장
, 벽면 등에 타공 후임팩 드릴로 회전시켜 삽입한다.

스크루앙카 규격표


 17)
스프링 너트(spring nut)
    찬넬 속에 스프링 너트를 넣어
상대물을 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으로 사업가설 시설물에 주로 사용한다.

스프링너트 규격표


 18) 스프링 너트(spring nut)(
스프링판 너트)
   
알루미늄 프로파일 홈에 삽입 후 판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체결한다.

스프링너트(스프링판너트) 규격표


 19)
아이 너트(eye nut)
    아이볼트와 사용 용도가 동일하지만 암나사가 있는 구조이며, 한쪽 끝에 핀이나 끈이 통할 수 있는 둥근 고리가

    달려 있는 너트이다.

아이너트 규격표


 
20) 웰딩 너트(weld nut)
   
형상은 사각형 & 육각형이 있다.
   
너트의 용도에 따라서 배꼽(용접할 때 구멍에 끼워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

    발(끝에 뾰족 튀어나온 발 모양), 배발(배꼽과 발의 혼합 형태) 구분한다.
    너트 자리면에점 용접을 위한 돌기를 만들어 자동차의 차체 또는 모재에 용접하여 조립 시 외부에서 체결을 가능하게 한 너트이다.

    기밀성을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웰딩너트 규격표

 21) 연결 너트
   
형상은 원형과 육각형이 있다.

연결너트 규격표


 
22) 인서트 너트
   
성형물이나 어떤 물체에 홀을 만들어 그 속에 삽입하고 반대편 상대물과 결합을 할 수 있게 만들어진 너트이다.

인서트너트 규격표


 
23) 지지대 너트
   
원형과 육각형태로 길이가 여러 종류로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띄울 때 사용하게 된다.
 
24) 짱구 너트
   
목재와 목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여러 번 분해와 조립을 반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목재를 T형태 또는 수직으로 체결 시 사용한다.

짱구너트 규격표


 
25) 캡 너트(cap hex nut)
   
수나사의 선단이 보이지 않기 위해 편면을 모자형태로 만든 너트이다.
   
볼트 끝부분이 튀어나오지 않게 막은 너트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외관을 좋게 하고 싶을 때,

    기밀성을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캡너트 규격표


 
26) 코니칼 너트(conical nut)
   
너트와 와셔의 일체형으로 체결 시모재와의 접촉면이 와셔에 의해 고정되어 모재의 모재의 스크래치

    및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코니칼너트 규격표


 
27) 클린칭 너트(clinching nut)
   
얇은 모재(, 알루미늄, 스텐, 동 외)에 프레스로 눌러 압입 하는 방식이다.

클린칭너트 규격표

 28) 터클 너트(turkle nut)
   
피스만으로 지탱이 어려운 곳에(석고 천장) 피스와 함께 사용하여 견고함을 더해준다.

   손이 들어가지 않는 벽체등에 사용할 수 있다.
 
29) 파인 U너트(fine u nut)
   
마찰링이 높은 풀림 방지 기능을 한다. 키 가공 및 와셔가 필요 없다. 반미세조정으로 토크 관리가 가능하다.
   
반복사용을 해도 풀림 토크가 유지된다. 진동에 강하다.

파인U너트 규격표


 
30) 팝 너트(=리벳 너트)(pop nut)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탭을 모재에 직접 가공하던 방식을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 방식으로 용접 너트를

    대체할 수 있으며, 리벳트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안정적인 나사산 확보가 가능한다.

    나사산 확보가 어려운 모재에 적용가능하다.

팝너트 규격표


 
31) 평 너트( 가구연결너트)(connecting nut)
   
가구나 합판 등 조립 & 제작 & 수리 시 사용하는 볼트이다.

평너트 규격표


 
32) 플랜지 너트(flange nut)
   
너트 하면을 넓게 하기 위해 플랜지를 붙인 형태의 풀림 방지 너트이다.

    이완방지를 위한 돌기(serration) 붙인 형태도 있다.
   
돌기가 있는 경우 조임 토크에 비해 풀림 토크가 매우 크므로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너트 바닥면에 둥근 테가 붙은 모양의 와셔 겸용의 너트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볼트 구멍이 크거나 접촉면이 거칠 때 사용한다.
   
플랜지 너트는 와셔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너트가 헛돌기 때문에 너트만 사용해야 한다.

플랜지너트 규격표


 
33) 홈붙이너트(=슬롯너트, 홈너트, 핀홈붙이너트, 핀너트, 캐슬너트, 와리너트, 크라운너트)(castle nut)
   
너트의 높이에 따라서 저형과 고형으로 나눈다.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의 상부에 홈을 파고,

    볼트의 나사부에 미리 뚫어 놓은 작은 구멍에 너트의 홈을 맞춘 후 분할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너트이다.
   
분할핀은 이완 방지가 아니고 풀림 방지 이므로 다소 이완이 되어도 너트가 분리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에

    선택하여 사용한다.


 
34) 휠 너트(wheel nut)
   
자동차의 바퀴 고정에 사용하는 너트이다.
 
35) 콘로드 너트(conrod nut)
   
자동차의 엔진의 커넥팅로드를 연결하는 너트로 나사산의 정밀도가 높은 1급 나사 사양이다.
 
36) 플레어 너트(사라너트)(flare nut)
   
에어컨 설치 시동배관을 연결할 때, 자동차용 튜브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37) 케이지 너트(cage nut)
   
랙의 기둥, 불일치한 홀가공 뒷면등에 사각홀가공 후 걸어 장착한다.
 
38) 하드록 너트(hardlock nut)
   
편심의 원리로 진동과 충격에 강력한 풀림 방지 효과가 있다.

하드록너트 규격표

반응형

댓글